[차이나워치] 중국 충칭 최고기온 45도…가뭄까지 겹쳐 식수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이 61년 만에 찾아온 역대급 폭염으로 인해, 그야말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부 내륙지방의 낮 최고기온이 무려 45도를 기록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베이징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폭염의 기세가 엄청나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중부 내륙에 위치한 충칭은 중국 내에서도 무덥기로 이름 난 곳입니다.<br /><br />'중국의 4대 화로'라는 별명이 있을 정돕니다.<br /><br />올해는 더위의 기세가 더욱 강력한데요.<br /><br />어제 낮 최고기온은 무려 45도까지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충칭에서 관측된 역대 최고 기온이라고 중국 기상당국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SNS 등에 올라온 영상 등을 보면 아스팔트 위 온도계의 경우 최고 수치인 50도를 넘길 정도입니다.<br /><br />더위를 참지 못한 시민들은 볕이 들지 않는 곳을 찾다 보니 지하상가 등은 대피소로 변했습니다.<br /><br />충칭에서는 낮 기온이 35도를 웃돌 때 내려지는 고온 경보가 7월 21일 이후부터 30일째 발령 중인데요.<br /><br />다음 주까지도 이 같은 폭염의 기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중국 기상당국은 예보했습니다.<br /><br />고온 건조한 날씨 속에 산불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폭염에 더해서 가뭄 피해도 크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기상당국은 고온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는 중부 내륙 10개 지역에 올해 첫 가뭄 경보도 발령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양쯔강이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중국의 대표적인 젖줄 창장 주변인데요.<br /><br />창장 아래 숨어 있던 600년 전 유물이 이번 가뭄에 모습을 드러내는 일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중국의 물관리 당국인 수리부는 지난 17일 기자회견에서 1961년 이후 창장 유역에서 최악의 가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창장 유역 쓰촨과 충칭, 후베이, 후난, 창시, 안후이 등 6개 성의 경작지 118만 헥타르가 피해를 입었고, 83만 명이 식수난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가뭄 해결을 위해 인공강우 기술까지 동원하고 있지만, 의도한 대로 비구름이 잘 만들어지는 것 같지는 않은데요.<br /><br />가뭄에 따른 농작물 피해도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농업당국은 지난달 중국 내 채소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13% 가까이 상승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당분간 더위가 더 이어질 경우 가을 곡물 생산에도 심각한 도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가뭄 피해가 심각한 지역에는 전문가 지원팀을 보내고, 3억 위안(우리 돈 583억)에 달하는 재해구호기금을 마련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현재 폭염과 가뭄 등 기상 이변에 따른 재난은 전 세계적인 문제인데요.<br /><br />글로벌 식량공급망에서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도 상당한 만큼, 큰 위기가 닥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만과의 갈등 상황도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이 가을부터 대만과 무역 관련 협상을 시작한다고 발표한 데 대해서 중국이 대만을 향해 고강도 무력 시위를 펼쳤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대만 국방부는 어제(18일)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 군용기 51대와 군함 6척이 대만 주변 공역과 해역에서 활동하는 것을 탐지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대만해협 중간선을 넘거나 대만 서남부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고강도 무력 시위를 펼친 겁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지난 2일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 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대만해협 중간선 무력화 시도를 계속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번 무력 시위는 하루 앞서 미국 무역대표부가 대만과의 무역 관계 강화를 위해 올가을부터 공식 협상을 시작한다고 밝힌 것과도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이같은 중국의 무력 시위에 대만도 가만히 보고만 있지 않았는데요.<br /><br />대만의 국책 방산연구소인 국가중산과학원이 어제(18일) 저녁 미사일 발사시험을 했습니다.<br /><br />대만해협 중간선을 넘나드는 중국군의 도발에 대한 경고 차원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, 대만의 군사전문가들은 '대만판 사드'로 불리는 톈궁3 고고도 대공미사일 개량형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차이잉원 대만 총통도 중국 군함을 감시하는 대만 군함의 모습을 SNS에 공개하며, "대만이 일심단결하면 모든 도전을 극복할 수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중국은 러시아와도 군사훈련을 예고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국방부는 이달 30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러시아 극동지방에서 진행되는 '동방-2022' 훈련에 참여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가 연합 군사훈련을 벌이는 것은 지난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을 할 때 진행한 동해 연합훈련에 이어 두번째 입니다.<br /><br />중국 관변매체 글로벌타임스는 "이번 훈련의 초점은 태평양에서의 잠재적인 위협에 대처하는 것에 맞춰져 있다"고 보도했는데요.<br /><br />전문가를 인용해 "미국의 글로벌 헤게모니에 대항하기 위한 훈련"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군사 전문가 쑹중핑은 "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회원국이나, 한국, 일본, 호주 등 동맹국들과 군사 훈련을 하는 상황에서, 중국은 러시아와의 훈련을 못 할 게 있느냐"고 말했는데요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의 훈련은 미국과 동맹국의 훈련에 비해 억제되고 있지만, 앞으로 합동 훈련은 더욱 빈번하고 정상화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중국_폭염 #중국_가뭄 #중국의_4대_화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